사회복지시설에 근무하는 종사자가 사용할 수 있는 휴가는 근로기준법상 그 기준이 정해져 있는 연월차휴가, 산전·산후휴가, 가족돌봄휴가 등도 있지만, 근로기준법에는 정해져 있지 않지만 종사자 복리 차원에서 종사자의 경조사 시 사용할 수 있는 특별휴가도 함께 부여하고 있습니다. 그럼 사회복지시설에서 사용할 수 있는 특별휴가 기준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RnSdH/btsi9VOsn8B/YKEfKRDWKIWEHX5nCjpdHK/img.jpg)
□ 특별휴가란?
특별휴가는 근로기준법 등 법으로 강제된 휴가와는 달리 기업이나 조직운영단체에서 직원 복리를 위해 직원의 경조사 시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한 휴가를 말합니다. 사회복지시설의 경우는 관할 지자체 발행 「당해연도 사회복지법인·시설 업무 가이드」 상의 특별휴가 규정을 반영하여 시설의 취업규칙 등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. 또한 사회복지시설의 특별휴가는 유급휴가로 사용이 가능합니다.
□ 특별휴가 규정
대개는 공무원의 특별휴가를 관할 지자체의 지방공무원 복무규정이나 조례 등에 근거하여 별도로 정하고 있으며, 사회복지시설의 경우도 이에 준용하여 시행하도록 하고 있는 바, 이는 관할 지자체 별로 각기 다를 수 있습니다. 따라서 가장 정확한 기준을 알려면 관할 지자체 발행 「당해연도 사회복지법인·시설 업무 가이드」를 참조하여야 합니다.
● 지방공무원 복무규정 상 특별휴가(지방공무원 복무에 관한 예규 참조)
지방공무원 복무규정 [별표 1]에서 규정하는 지방공무원의 경조 휴가일수는 아래와 같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mofQ5/btsjazYpVoI/H8W7rJVWa2YDTCTr0Qi7Uk/img.png)
(나) 입양은 「입양특례법」에 의한 입양에 한하며, 입양 휴가를 사용하고자 하는 자는 「입양특례법」에 따라 가정법원의 허가를 받거나 「가족관계 등록 등에 관한 법률」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신고한 때에 입양휴가를 사용할 수 있으며, 법원의 입양 허가 전 사용할 경우에는 입양할 아동을 인도받은 입양기관의 확인서류를 첨부하여야 함
(다) 입양 이외의 경조사휴가를 실시함에 있어 원격지일 경우에는 2일 범위 내에서 왕복소요일수를 가산할 수 있음. 이 경우, 원격지라 함은 가장 빠른 교통수단으로도 왕복 8시간 이상 소요되는 지역을 말함
(라) 경조사휴가는 그 사유가 발생한 날을 포함하여 전후에 연속하여 실시하는 것이 원칙임
※ 경조사휴가는 토요일・공휴일로 인하여 분리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분할하여 사용할 수 없음
○ 본인 결혼 휴가의 경우에는 그 사유가 발생한 날(결혼식일 또는 혼인신고일)부터 30일 이내의 범위에서 사용 가능함(이 경우 휴가 사용시 마지막 날이 30일 범위 내에 있어야 함)
○ 배우자 출산 휴가의 경우에는 그 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90일 이내의 범위에서 1회에 한정하여 나누어 사용 가능함(이 경우 휴가 사용 시 마지막 날이 90일 범위 내에 있어야 함)
○ 사망으로 인한 경조사 휴가의 경우 그 사유가 발생한 날 또는 그다음 날에 사용 가능함
● 지자체별 별도의 복무조례 적용
경조 특별휴가는 상기의 「지방공무원 복무규정」과는 다르게 지자체별 공무원 복무조례에 따라 달리 정할 수 있습니다. 따라서 지자체에 따라 특별휴가 인정일 수가 각기 다를 수 있습니다. 그럼 서울특별시와 부산광역시의 경우 특별휴가기준이 어떻게 다른지 비교해 보겠습니다.
※ 서울시와 부산시의 경조특별휴가 인정기준 비교표
구분 | 대상 | 일수 | |
서울시 | 부산시 | ||
결혼 | 본인 | 5 | 5 |
자녀 | 1 | 1 | |
본인 및 배우자의 형제자매 | 1 | - | |
출산 | 배우자 | 5 | 10 |
입양 | 본인 | 20 | 20 |
사망 | 배우자, 본인 및 배우자의 부모 | 5 | 5 |
본인 및 배우자의 조부모·외조부모 | 3 | 3 | |
자녀와 그 자녀의 배우자 | 5 | 3 | |
본인 및 배우자의 형제자매와 그 형제자매의 배우자 | 1 | 1 | |
본인 및 배우자의 부모의 형제자매와 그 형제자매의 배우자 | 1 | 1 | |
총계 | 47 | 49 |
※ 붉은색 표시가 서울시와 부산시의 공무원 경조휴가 일수가 서로 다른 부분입니다.
▷ 서울특별시 지방공무원 복무조례상의 특별휴가 기준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QSFev/btsjctCWlDe/tobA5z5rf86nJq21VlOJx0/img.png)
▷ 부산광역시 지방공무원 복무 조례상의 특별휴가 기준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Qozej/btsjcsDWRL0/9uhKQv3qBijFpYma1ra2Z1/img.png)
◆ 참고자료
● 지방공무원 복무에 관한 예규(행정안전부 예규 제196호) 다운로드
● 서울특별시 지방공무원 복무조례 「별표 3」 경조사별 휴가일수표 다운로드
● 부산광역시의회 공무원 복무 조례 다운로드
'규정 및 양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3 사회복지법인 관리안내 다운로드 (0) | 2023.07.02 |
---|---|
2023 사회복지시설 관리안내 다운로드 (0) | 2023.07.02 |
이사회 회의록의 작성 및 공개와 비공개 여부 (2) | 2023.06.06 |
채용 절차법과 표준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다운로드 (3) | 2023.04.29 |
사회복지사 호봉 산정시 군복무 경력 인정 범위 (3) | 2023.04.26 |
댓글